Kstone's DevSpire

  • 홈
  • 태그
  • 방명록

kmp 1

자료구조(2) : 배열(2, 完) - 희소 행렬, 문자열

희소 행렬(Sparse Matrices)앞서 배열을 사용하는 예시를 계속 봤다. 고차원 배열의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행렬이다. 사실 행렬은 2차원 배열이라그렇게 고차원은 아니지만, 그래도 다루었기 때문에 소개하도록 하겠다.행렬은 선형대수학을 수강했다면 이미 아는 내용일 것이다. a[m][n] 사이즈의 행렬이 있다고 하면,m : 행의 수n : 열의 수m x n : 전체 요소의 개수(기수라고도 부른다)크게 세 개의 행렬에서의 주요 값들이 존재한다. 그림으로 보는 것이 더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다. 가로를 행, 세로를 열이라고 부르니 꼭 기억하자. 헷갈리면 큰일난다.추가로 행렬에서 자주 쓰는 연산에 대해서 간단하게만 설명하면,행렬 생성(Creation)행렬 전치(Transpose) : 주대각선을 기준으로 대칭..

학부 CS/자료구조 2025.02.22
이전
1
다음
더보기
프로필사진

Kstone's DevSpire

잡다한 기술 블로그

  • 전체 글 (29)
    • 학부 CS (28)
      • 데이터베이스 (10)
      • 데이터통신 (0)
      • 디지털논리및시스템 (0)
      • 알고리즘 (11)
      • 자료구조 (7)
    • 보안 (0)
    • AI (0)
    • 프로젝트 (0)
    • 잡담, 대외활동 (1)

Tag

acid, ADT, Ai, buffer, cs, db, dp, ER, ER모델, It, join, kmp, Log, Nand, NP, np완전, np완전이론, NULL, RAID, record,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최근댓글

Kstone's Github Kstone's solved.ac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 kstone's github
  • kstone's solved.ac

티스토리툴바